2025. 4. 7. 14:33ㆍ재테크
사회초년생이 재테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은 바로 이겁니다.
"월급 들어오면 그냥 쓰면 안 되나요? 꼭 통장을 쪼개야 하나요?"
결론부터 말하자면, 통장 쪼개기는 단순한 돈 관리가 아니라 '소비 통제'와 '저축 자동화'를 위한 필수 습관입니다.
월급은 적어도, 모아야 할 돈이 많아도, 통장 구조를 제대로 설계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.
통장 쪼개기의 핵심은 '목적별 분리'
사람들은 흔히 통장 쪼개기 = 무조건 통장 많이 만들기라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, 중요한 건 개수가 아니라 목적에 따라 돈을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입니다.
지출/저축/투자/비상금/소비 이 다섯 가지를 기준으로 '돈이 어디로 가는지'를 눈에 보이게 만들어주는 것,
그게 통장 쪼개기의 목적입니다.
✅[STEP 1]. 최소 3개, 현실적인 통장 구조 만들기
사회초년생이라면 복잡하게 시작할 필요 없습니다.
3개의 기본 통장 구조만 잘 유지해도 80%는 성공입니다.
1) 월급통장 (수입통장)
-월급이 들어오는 주계좌
-자동이체 설정의 중심 통장
-고정지출이 빠져나가도록 설정
2) 소비통장 (생활비/변동지출 통장)
-카카오뱅크, 토스뱅크 등 모바일뱅크 추천
-생활비만 이체해서 사용
-잔액을 보며 소비 습관 조절 가능
3) 저축통장 (목표저축 or 투자계좌)
-CMA, 적금, 증권계좌 등 활용
-비상금, 여행자금, 결혼자금 등 목적별 가능
-소비와 완전히 분리
TIP : 이체일을 월급 다음 날로 설정하면 자동 저축 루틴이 완성됩니다.
✅[STEP 2] 지출 구조에 맞는 퍼센트 배분하기
얼마나 나눠야 하는지도 중요합니다.
수입과 지출 상황에 따라 60:20:20 법칙 또는 50:30:20 법칙을 활용해 보세요.
예시 : 실수령 200만 원 기준
구분 | 금액 | 설명 |
고정지출 (월세, 통신비 등) | 약 100만원 (50%) | 월급통장에서 자동 출금 |
소비지출 (식비, 쇼핑 등) | 약 60만원 (30%) | 소비통장으로 이체 후 사용 |
저축 및 투자 | 약 40만원 (20%) | 저축통장에 자동이체 |
*본인의 상황에 따라 60:20:20(고정 : 저축: 소비)으로 조정 가능
[STEP 3] 자동화가 핵심! 한 번 설정하면 손대지 않기
통장 쪼개기의 궁극적 목적은 돈 관리 루틴을 자동화하는 것입니다.
매번 신경 쓰면 번거롭고, 결국 흐지부지됩니다.
아래 항목을 자동화해 보세요.
1) 월급 입금일 기준 + 1일 자동이체 설정
-고정지출 ➡️ 카드값, 월세, 공과금
-소비통장 ➡️ 생활비 이체
-저축통장 ➡️ CMS, 적금 자동이체
2) 각 통장별 알림 설정으로 잔액 확인 습관화
3) 한 달 1번 예산 점검으로 계획 유지
✅[STEP 4] 목적에 따라 통장을 늘려도 OK
기초 3 통장 구조에 익숙해졌다면, 목적에 따라 통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추가 추천 통장
1) 비상금 통장 : 갑작스러운 병원비난 수리비 대비 (CMA 활용 추천)
2) 여행/취미 통장 : 목표 지출을 휘한 계획성 소비
3) 투자 전용 통장 : 증권 계좌 따로 관리하면 투자 흐름 파악이 쉬움
단, 통장이 많아질수록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자주 쓰지 않는 통장은 모바일 뱅크 활용 또는 자동이체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❗️통장 쪼개기를 시작해야 하는 이유
1. 소비와 저축을 분리해 유혹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. 급여일마다 자산 흐름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
3. 돈이 '남는 게 아니라, 남기게 된다'.
4. 비상상황 대비가 쉬워집니다.
5. 돈 쓰는 습관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, 개선이 가능합니다.
❗️마무리: 통장 쪼개기는 재테크의 출발선
월급은 순간이지만, 관리 방법은 평생 갑니다.
복잡하지 않게 시작해도 괜찮습니다.
수입 ➡️ 자동분배 ➡️ 소비 체크 ➡️ 남은 돈 저축
이 루틴만 잘 굴러가면, 당신은 이미 재테크의 기본을 완성한 것입니다.
지금 당장, 당신의 월급이 어디로 사라지고 있는지 점검해 봅니다.
통장 구조만 바꿔도 당신의 자산 흐름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조건 피해야 할 20대 재테크 실수 5가지-돈 모으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(1) | 2025.04.12 |
---|---|
20대 사회초년생 재테크 가이드] CMA, 자유적금, 예금 비교- 당신의 첫 자산은 어디에? (4) | 2025.04.09 |
20대 사회초년생, 재테크로 인생 첫 부자 마인드 만들기! (3) | 2025.04.06 |
불경기에도 돈을 모으는 법! 실천해야 할 재테크 전략 7가지 (2) | 2025.04.02 |
저축 vs. 투자, 2025년에는 어디에 돈을 넣어야 할까? (1) | 2025.03.26 |